맨위로가기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은 2008년 9월 11일부터 11월 22일까지 진행된 엠넷의 뮤직 온라인 게임 '클럽데이 온라인'이 후원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이다. 'END = AND'를 주제로, 32강은 곰TV MSL S2 방식, 16강부터는 박스식 배치로 진행되었으며, 김택용이 우승을 차지했다. 사용 맵으로는 비잔티움 2, 아테나 2, 데스티네이션, 메두사가 사용되었고, 김택용이 프로토스 최초 개인리그 3회 우승을 달성하며, 프로토스 육룡 시대를 열었다.

2. 리그 정보

=== 대회 개요 ===

리그 기간은 2008년 9월 11일부터 2008년 11월 22일까지이다. 엠넷의 뮤직 온라인 게임 '클럽데이 온라인'이 후원을 맡아, 당신은 골프왕 MSL 이후 두 번째로 게임 회사의 스폰서를 받아 리그가 진행됐다.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당신이 찾던 댄스 RPG, 클럽데이 온라인'이다. 리그 주제는 'END = AND'이다.

=== 대회 방식 ===

32강은 곰TV MSL S2 방식에 따라 지난 시즌 8강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과한 24명, 총 32명으로 진행되었다.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1부터 적용된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2명의 16강 진출자를 가렸고, 16강은 박스식 배치로 3전 2선승제, 8강부터는 5전 3선승제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 사용 맵 ===

'''Byzantium Ⅱ'''(비잔티움 2)는 2008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 2를 통해 처음 선보인 맵으로 MSL 개막과 함께 2.0버전으로 수정되었다. MSL에서 오랜만에 등장한 4인용 역언덕형 맵이다. 맵은 각 본진이 포함된 4개의 지역과 십자 모양의 중앙 분지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앞마당에서 세 번째 가스멀티 지역 및 중앙 지역으로 진출하려면 계단을 한번 내려가야 하는 구조로서 각 계단 입구는 병력 저지선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맵이다. 역언덕형 본진 입구 구조를 이용한 초반 전략과 동시에 다양한 전술 및 힘싸움 양상으로 경기가 전개되도록 의도하고 있다.

'''Athena II'''(아테나 2)는 기존 아테나 버전에서 지형과 자원을 수정한 버전이다.

프로리그 맵에서는 '''데스티네이션'''과 '''메두사'''가 사용된다.

2. 1. 대회 개요

리그 기간은 2008년 9월 11일부터 2008년 11월 22일까지이다. 엠넷의 뮤직 온라인 게임 '클럽데이 온라인'이 후원을 맡아, 당신은 골프왕 MSL 이후 두 번째로 게임 회사의 스폰서를 받아 리그가 진행됐다.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당신이 찾던 댄스 RPG, 클럽데이 온라인'이다. 리그 주제는 'END = AND'이다.

2. 2. 대회 방식

32강은 곰TV MSL S2 방식에 따라 지난 시즌 8강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과한 24명, 총 32명으로 진행되었다.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1부터 적용된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2명의 16강 진출자를 가렸고, 16강은 박스식 배치로 3전 2선승제, 8강부터는 5전 3선승제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2. 3. 사용 맵

'''Byzantium Ⅱ'''(비잔티움 2)는 2008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 2를 통해 처음 선보인 맵으로 MSL 개막과 함께 2.0버전으로 수정되었다. MSL에서 오랜만에 등장한 4인용 역언덕형 맵이다. 맵은 각 본진이 포함된 4개의 지역과 십자 모양의 중앙 분지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앞마당에서 세 번째 가스멀티 지역 및 중앙 지역으로 진출하려면 계단을 한번 내려가야 하는 구조로서 각 계단 입구는 병력 저지선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맵이다. 역언덕형 본진 입구 구조를 이용한 초반 전략과 동시에 다양한 전술 및 힘싸움 양상으로 경기가 전개되도록 의도하고 있다.

'''Athena II'''(아테나 2)는 기존 아테나 버전에서 지형과 자원을 수정한 버전이다.

프로리그 맵에서는 '''데스티네이션'''과 '''메두사'''가 사용된다.

3. 경기 결과

32강은 기존 원데이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박지수 승 vs 신상문변형태 승 vs 김명운박지수 승 vs 변형태신상문 승 vs 김명운변형태 승 vs 신상문
B조이영호 패 vs 박명수허영무 승 vs 권오혁박명수 패 vs 허영무이영호 승 vs 권오혁박명수 승 vs 이영호
C조이제동 승 vs 김창희 패신희승 패 vs 김동건이제동 패 vs 김동건김창희 패 vs 신희승이제동 승 vs 신희승
D조박영민 패 vs 이성은김택용 승 vs 손찬웅이성은 승 vs 김택용박영민 승 vs 손찬웅김택용 승 vs 박영민 패
E조김구현 승 vs 송병구한동훈 패 vs 염보성김구현 승 vs 염보성송병구 승 vs 한동훈 패염보성 패 vs 송병구
F조손주흥 패 vs 문성진주현준 승 vs 고인규문성진 승 vs 주현준손주흥 승 vs 고인규주현준 승 vs 손주흥
G조윤용태 승 vs 이학주 패이윤열 승 vs 마재윤윤용태 승 vs 이윤열이학주 패 vs 마재윤이윤열 승 vs 마재윤
H조진영수 승 vs 정명훈박재영 패 vs 민찬기진영수 승 vs 민찬기정명훈 패 vs 박재영민찬기 패 vs 박재영



16강부터는 기존의 박스형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 1경기16강 2경기16강 3경기16강 4경기
박지수 1 : 2 송병구김구현 2 : 1 변형태허영무 2 : 0 주현준박명수 2 : 1 문성진
16강 5경기16강 6경기16강 7경기16강 8경기
김동건 0 : 2 이윤열윤용태 2 : 1 이제동이성은 2 : 0 박재영진영수 0 : 2 김택용



8강 1경기8강 2경기8강 3경기8강 4경기
송병구 2 : 3 김구현허영무 3 : 0 박명수이윤열 0 : 3 윤용태이성은 0 : 3 김택용



4강 1경기4강 2경기
김구현 1 : 3 허영무윤용태 1 : 3 김택용



결승전
허영무 1 : 3 김택용


3. 1. 32강

32강은 기존 원데이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박지수 승 vs 신상문변형태 승 vs 김명운박지수 승 vs 변형태신상문 승 vs 김명운변형태 승 vs 신상문
B조이영호 패 vs 박명수허영무 승 vs 권오혁박명수 패 vs 허영무이영호 승 vs 권오혁박명수 승 vs 이영호
C조이제동 승 vs 김창희 패신희승 패 vs 김동건이제동 패 vs 김동건김창희 패 vs 신희승이제동 승 vs 신희승
D조박영민 패 vs 이성은김택용 승 vs 손찬웅이성은 승 vs 김택용박영민 승 vs 손찬웅김택용 승 vs 박영민 패
E조김구현 승 vs 송병구한동훈 패 vs 염보성김구현 승 vs 염보성송병구 승 vs 한동훈 패염보성 패 vs 송병구
F조손주흥 패 vs 문성진주현준 승 vs 고인규문성진 승 vs 주현준손주흥 승 vs 고인규주현준 승 vs 손주흥
G조윤용태 승 vs 이학주 패이윤열 승 vs 마재윤윤용태 승 vs 이윤열이학주 패 vs 마재윤이윤열 승 vs 마재윤
H조진영수 승 vs 정명훈박재영 패 vs 민찬기진영수 승 vs 민찬기정명훈 패 vs 박재영민찬기 패 vs 박재영


3. 2. 16강~결승

16강부터는 기존의 박스형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 1경기16강 2경기16강 3경기16강 4경기
박지수 1 : 2 송병구김구현 2 : 1 변형태허영무 2 : 0 주현준박명수 2 : 1 문성진
16강 5경기16강 6경기16강 7경기16강 8경기
김동건 0 : 2 이윤열윤용태 2 : 1 이제동이성은 2 : 0 박재영진영수 0 : 2 김택용



8강 1경기8강 2경기8강 3경기8강 4경기
송병구 2 : 3 김구현허영무 3 : 0 박명수이윤열 0 : 3 윤용태이성은 0 : 3 김택용



4강 1경기4강 2경기
김구현 1 : 3 허영무윤용태 1 : 3 김택용



결승전
허영무 1 : 3 김택용


3. 3. 최종 순위

우승은 김택용, 준우승은 허영무, 3위는 김구현 · 윤용태이다.

4. 특이 사항


  •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신맵 비잔티움을 사용했으며, MSL 본선에서는 이 맵을 수정한 '비잔티움2'를 사용했다.
  • 32강 개편 이후 저그가 최소(5명), 프로토스가 최다(10명) 진출했다.
  • 강민이 MSL 해설로 데뷔했다.
  • 스프리스 MSL 이후 11시즌 만에 저그가 4강 진출에 실패했다.
  • 프링글스 MSL 시즌2 이후 6시즌 만에 테란이 4강 진출에 실패했다.
  • 2008년 10월 김동준의 군입대로 인해 이후 강민이 모든 클럽데이 온라인 MSL 해설을 담당했다.
  • 8강 4경기 모두 32강 리매치로 진행되었다. (A조 김구현 vs 송병구, B조 허영무 vs 박명수, C조 김택용 vs 이성은, D조 윤용태 vs 이윤열) B, C, D조는 32강 승자전 리매치였고 A조만 32강 1경기 리매치였다.
  • 8강 경기 결과 중 프로토스 대 저그, 테란전에서 모두 3:0 스코어가 나왔다.
  • 4강에 프로토스 4명(김구현, 허영무, 김택용, 윤용태)이 진출하여, 한 종족이 4강을 독식했다.
  • 개인리그 최초로 4강에서 한 종족(프로토스)이 모든 자리를 차지했다.
  • 허영무가 생애 처음으로 개인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 김택용이 곰TV MSL 시즌3 이후 약 1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다.
  • 김택용이 프로토스 최초로 MSL 4회 결승에 진출했다.
  • 결승전은 2008년 11월 22일 서울 광운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렸으며, 다이나믹 듀오가 초대가수로 초빙되었다.
  • 김택용이 프로토스 최초로 개인리그 3회 우승을 달성했다.
  • SK텔레콤 T1은 최연성의 우승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개인리그 우승자를 배출했으며, T1 창단 5번째 개인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SK텔레콤 T1의 전신인 동양 오리온에서 2회 우승)
  • 프로토스 육룡시대가 개막하여, MSL에서는 김택용, 허영무, 윤용태, 김구현이, 스타리그에서는 송병구, 도재욱이 양대리그 4강에 진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